카테고리 없음
loc, iloc 함수
렁다이쿤
2022. 10. 28. 23:56
728x90
데이터프레임에서 원하는 index 혹은 변수명을 통해 추출하는 함수입니다.
loc 구조
df.loc[인덱스입력]
역시 예시가 최고겠죠? 다음 코드를 보면서 공부해보세요
iris
Sepal.Length Sepal.Width Petal.Length Petal.Width Species
5.1 | 3.5 | 1.4 | 0.2 | setosa |
4.9 | 3.0 | 1.4 | 0.2 | setosa |
4.7 | 3.2 | 1.3 | 0.2 | setosa |
4.6 | 3.1 | 1.5 | 0.2 | setosa |
5.0 | 3.6 | 1.4 | 0.2 | setosa |
... | ... | ... | ... | ... |
6.7 | 3.0 | 5.2 | 2.3 | virginica |
6.3 | 2.5 | 5.0 | 1.9 | virginica |
6.5 | 3.0 | 5.2 | 2.0 | virginica |
6.2 | 3.4 | 5.4 | 2.3 | virginica |
5.9 | 3.0 | 5.1 | 1.8 | virginica |
150 rows × 5 columns
0:3행을 추출해보겠습니다.
iris.loc[0:3]
Sepal.Length Sepal.Width Petal.Length Petal.Width Species
5.1 | 3.5 | 1.4 | 0.2 | setosa |
4.9 | 3.0 | 1.4 | 0.2 | setosa |
4.7 | 3.2 | 1.3 | 0.2 | setosa |
4.6 | 3.1 | 1.5 | 0.2 | setosa |
0행을 추출
iris.loc[0]
Sepal.Length 5.1
Sepal.Width 3.5
Petal.Length 1.4
Petal.Width 0.2
Species setosa
Name: 0, dtype: object
엇? 왜 데이터프레임으로 안만들어지지?
당황하지 마시고 대괄호 하나 더!
iris.loc[[0]]
Sepal.Length Sepal.Width Petal.Length Petal.Width Species
5.1 | 3.5 | 1.4 | 0.2 | setosa |
loc는 오로지! index를 통해서 정보를 추출한다고 보시면 됩니다. 연속적인 값만 예시를 보여드렸는데
iris.loc[[0,3,5,6,10]] 이런것도 실행시켜보세용
다음은 iloc
iloc는 행정보와 열정보를 모두 고려하고 싶다는 뜻입니다.
예시가 역시 최고이므로
0:3행, 0부터 2행(0 생략해도됩니당)
iris.iloc[0:3,:2]
Sepal.Length Sepal.Width
5.1 | 3.5 |
4.9 | 3.0 |
4.7 | 3.2 |
0:3행, 2부터 끝행까지
iris.iloc[0:3,2:]
Petal.Length Petal.Width Species
1.4 | 0.2 | setosa |
1.4 | 0.2 | setosa |
1.3 | 0.2 | setosa |
0:3행, 끝에서 2번째부터 끝까지(-를 붙이면 뒤에서부터이니까 참고하시고 -1부터 시작할 수 있어용)
iris.iloc[0:3,-2:]
Petal.Width Species
0.2 | setosa |
0.2 | setosa |
0.2 | setosa |